즐겨찾기 추가 2025.04.04(금) 17:26
시사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도 특집기획 오피니언 커뮤니티  
새의자 수상 독자기고 시사칼럼 건강칼럼 기자수첩 핫이슈
새의자
수상
독자기고
시사칼럼
건강칼럼
기자수첩
핫이슈
화재 피난에 대한 인식의 전환 '불나면 살펴서 대피'

보성소방서 정용인 서장

2024년 11월 21일(목) 08:41
보성소방서 정용인 서장
[시사종합신문] 예전에는 화재가 사람의 크기보다 클 경우 ‘대피 먼저’라는 인식이 우리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살펴서 대피’라는 홍보문구를 오가며 전광판이나 전단지 등을 통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왜 대국민을 상대로 ‘살펴서 대피’를 홍보하는 것일까?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전체 115,029건의 화재 중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는 13,955건으로 전체 화재 대비 12.1%를 차지한다. 또한, 전체 화재 대비 공동주택의 사망자는 21.1%, 부상자는 24.6%로 화재 건수 대비 인명피해 비율이 2배 이상 높은 수치를 기록한다.

지난해 12월 서울 도봉구의 한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3층 화재가 난 세대에서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였고, 계단으로 통하는 방화문도 일부 개방되어 계단실로 연기가 확산되었다. 이 화재로 4층에서 뛰어내린 30대 1명, 10층 계단실에서 연기질식으로 30대 1명 총 2명이 사망하고, 3명의 중상자 중 70대 1명은 20층 계단실에서 연기질식으로 심정지 상태로 발견됐으나, 의식을 회복하였었다.

위 사례로 공동주택 화재에 대해 알아보면 공동주택은 화재의 특성이 일반적인 화재와 다르다. 방화구획이 어떤 건물보다 우수하며, 소화시설, 피난시설, 경보시설 또한 우수하다. 하지만 공동주택의 수직적인 건물 특성으로 인해 연기의 유동은 급격하다. 화재가 난 세대의 방화문이 열려있을 경우 세대 내에서 발생한 연기는 대류현상에 의해 급격하게 계단실 등으로 확산되어, 계단으로 대피 시 질식 위험을 높인다.

결국 피난 매뉴얼을 숙지하지 못해 저층에서 발생한 화재로 고층에 있는 거주자가 연기흡입으로 사망한 경우가 발생한 것이다. 이번에 확실하게 매뉴얼을 숙지하여 우리 가족의 생명을 지켜보자.

공동주택 화재 시 ‘살펴서 대피’의 주요 내용은 우리집 화재, 다른 집 화재로 크게 나뉘며,
▲우리집 내부 화재는
- 대피가 가능한 경우는 ‘대피’
- 대피가 불가능한 경우는 ‘구조요청’을 하고,
▲다른 집 화재 시
- 화염·연기가 들어오지 않는 경우는 ‘대기’하고,
- 화염·연기가 들어오는 경우는 ‘대피, 대피 불가능 시 구조요청’을 하면 된다.

추가적으로 화재가 발생하기 전 골든타임을 연장하기 위한 행동요령 및 방법은 ▲화재 시 세대 출입문 및 방화문 닫고 대피하기 ▲단독경보형감지기 각 구획된 방마다 설치하기다.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도 자신의 능력을 과신하여 무모하게 대피를 시도하기보다는 계단 등 연기 유무를 확인 후 안전하게 대피하고 추후 진압 및 구조는 소방관에게 맡기는 것이 상책이다.
기자이름 시사종합신문
이메일 sisatotal@hanmail.net
시사종합신문의 다른 기사 보기
캠핑의 계절, 캠핑장 화재 예방법
봄철 야외 활동, 진드기 물림 주의하세요!
의료기관 화재 예방(생명보호를 위한 필수 과제)
클린하우스 배출 안 되는 품목? 지구를 위해서 기억해요!
환경개선부담금이란
안전한 도시를 향한 힘찬 출발, ‘서귀포시 방범순찰대’ 출범
산불,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가?
산불예방과 대응
모두가 함께하는 산불 예방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실현
공사장 임시소방시설 설치 의무화
    

회사소개회원약관청소년보호정책개인정보보호정책제휴문의광고문의기사제보공지사항고충처리인제도인터넷신문 윤리강령
제호 : 시사종합신문 | 등록번호 : 광주, 아00535 | 발행일 : 2011.03.16 | 발행/편집인 : (주)시사종합신문 | 대표이사 : 오승택
광주본부 ㉾ 61924 광주광역시 서구 양동 264-12, 1층 | 전화 : (062)524-1600 | 기사제보 : sisatotal@hanmail.net | 청소년보호책임자 : 오승택
전남본부 ㉾ 57942 전라남도 순천시 성동2길 24(동외동) | 전화 : (061)746-2222 | 전북본부 ㉾ 54801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번영로 263(성덕동) | 전화 (063)214-4300
제주본부 ㉾ 63008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조로 124(고산리) | 전화 : 010-2080-6002
[주식회사 시사종합신문]를 통해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기사 및 사진)는 무단사용, 복사, 배포시 저작권법에 저해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