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ㆍ재래시장은 이곳저곳에 상품을 진열해 두고 있다. 재래시장은 백화점에 비해 불분명한 구역에 가판(街販)이 널려있고 체계적인 관리자가 없어 화재 발생 시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에 각별한 주의와 관심이 필요하다.
재래시장 화재 참사는 대구 서문시장, 여수 수산시장, 인천 소래포구 어시장, 경북 영덕의 재래시장 등 화재 사례가 있다. 이처럼 재래시장은 단순한 화재에 그치지 않고 엄청난 재산피해를 가져오며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각종 노점과 상품으로 인해 소방차의 접근이 쉽지 않아 문제점은 더 크다. 무엇보다도 화재 예방이 중요한 이유 중 하나다.
이번 추석 명절에는 시장 내 전기와 가스 점검 등 위험요소에 대해 각별히 주의를 기울이고 철저한 소방시설 점검을 시행해야 한다. 또 소방시설 주위에 물건을 쌓아놓지 말고 유사시를 대비해 소방차 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공간확보에 신경을 써 화재에 대비하는 ‘유비무환(有備無患)’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
물건을 하나 더 팔기 위해 노력하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시장을 찾은 손님이 화재로 인한 안전에 위협을 당하거나 생업의 터전을 잃는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의 눈물이 없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