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사 화재의 발생 원인을 살펴보면 첫 번째로 전기로 인한 화재가 대표적이다. 축사는 난방, 환풍기 등 전력 소모가 많기 때문에 노후 전선에 전기적 과부하가 걸렸을 경우 차단기가 정상 작동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누전차단 미설치·작동 불량으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축사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선 축사 내 전기시설은 반드시 규격 전선을 사용하고 하나의 회로에 필요 이상의 보온등·환풍기 설치를 금지한다. 노후 전선은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전기안전공사나 전기안전진단업체의 정기적인 점검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분전반은 반드시 접지 공사를 해야 하고 누전차단기를 월 1회 이상 점검해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최근엔 축사시설 현대화를 위해 누전차단기를 아크차단기로 교체하는 등 각 소방관서에서 축사 안전시설 교체 협력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또 전기용접이나 절단 작업 시에는 주변 가연물 유무를 확인하고 소화기를 비치해 초기 화재에 대비해야 한다. 축사 특성상 발생하기 쉬운 거미줄이나 분진 등은 정기적으로 청소해 발화 시 급격하게 연소 확대하는 걸 방지한다.
축사 건물 간 일정한 거리 유지, 축사 증축·신축은 불연성 재료를 사용하고 축사 주변 가연물 제거 등으로 연소 확대 우려를 미리 차단한다. 화재 활동에 대비해 저수조 등 자체 소화용수 확보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근본적인 축사 화재 예방을 위해 축산농가의 관심과 안전의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