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 동안 화재를 분석해 보면 전체 화재 7,590건 중 108건(1.4%)의 공사장 화재가 발생했다. 화재 원인을 살펴보면 용접, 절단으로 인한 화재가 47건(43.5%)을 차지했다.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시너, 페인트, 우레탄폼 등의 가연성 자재들은 용접 작업 중 불티에 의해 쉽게 착화되고 큰 화재로 번질 위험이 크다. 특히 대형 건설 현장은 가연성 자재를 지하 주차장 등 내부 공간에 보관하는 경우가 많아 화재 시 연소 확대 위험이 매우 커진다.
공사장 화재는 발생 건수는 적지만 재산 피해가 큼으로 공사장 화재 예방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주로 용접 불티와 부주의, 안전에 대한 소홀함으로 발생함으로 안전 수칙을 의무적인 행동으로 옮겨야 공사장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화재는 타인의 집이나 건물에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 안전관리를 소홀히 하면 언제든지 자신에게도 닥칠 수 있는 재난이다. 공사장 안전관리를 철저히 하여 귀중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