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협의회에는 전북특별자치도와 시군, 군산지방해양수산청, 해양경찰서, 해양환경공단, 어업인 단체 등 25여명이 참석했다.
전북자치도는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 행정기관과 어업인, 지역주민이 함께하는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민·관이 함께한 정화활동을 통해 총 6,191톤의 해양폐기물을 수거·처리했으며, 폐어구 수거 경진대회 등 참여형 프로그램도 적극 운영했다. 지난해 폐어구 수거 경진대회에서 군산 비응어촌계가 수상하는 성과도 거뒀다.
회의 참석자들은 기관별 역할을 명확히 하고, 장마철과 태풍 등 재해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해양쓰레기 기동처리반’을 운영하기로 뜻을 모았다. 또한 해양환경 인식개선 프로그램과 캠페인을 확대하여 주민과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해양수산부 해양보전과도 협의회에 참석해 국가 차원의 해양폐기물 정책 방향과 2025년 중점사업을 공유하며,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의 유기적 협력체계 필요성을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역할 분담과 유기적 대응체계 강화를 위해 ‘해양쓰레기 기동처리반’을 운영하기로 뜻을 모으고, 기관 간 정보공유와 협업을 정례화하기로 했다.
도는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도민 인식개선에도 힘을 쏟는다. 오는 5월 ‘바다의 날’을 맞아 민·관 합동 대규모 정화활동을 추진하며, 반려해변 확대, 민간·청소년 참여 캠페인, 해양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해양환경 조성에 나설 방침이다.
김미정 새만금해양수산국장은 “전북의 푸른 바다는 도민 모두의 자산이며, 이를 지켜내는 일은 특정 기관만의 책임이 아니다”라며 “민·관의 적극적인 협력이 해양환경 개선의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깨끗한 바다는 미래 세대에 물려줘야 할 소중한 유산인 만큼, 도는 지속 가능한 관리체계 구축과 실질적인 실천에 더욱 집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