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추가 2025.04.04(금) 17:26
시사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도 특집기획 오피니언 커뮤니티  
새의자 수상 독자기고 시사칼럼 건강칼럼 기자수첩 핫이슈
새의자
수상
독자기고
시사칼럼
건강칼럼
기자수첩
핫이슈
추운 겨울, 따뜻하고 안전하게 보내세요

여수소방서 평여119안전센터 소방사 김세진

2023년 12월 14일(목) 16:48
여수소방서 평여119안전센터 소방사 김세진
[시사종합신문] 어느새 한 해의 끝자락인 12월, 겨울철이 돌아왔다. 이맘때쯤이면 가정, 사무실 등 곳곳에서 난로나 전기장판과 같은 난방용품들을 자주 사용하고 있을 것이다.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겨울철(12월~익년 2월) 화재는 연평균 약 11,030건 발생하여 709명의 인명피해와 약 1,983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겨울철은 사계절 중 화재 건수가 가장 많았고, 화재에 따른 인명피해 비율도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겨울철을 안전하게 보내기 위한 겨울철 안전한 난방기기 사용을 위한 안전 수칙 몇 가지를 당부드리고자 한다.

첫째, 난방기기는 KC 등 공인된 인증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KC 인증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에서 국민의 안전확보를 위해 해당 제품의 안전요건을 만족하는지를 안전성을 확인 후 시장에 출시하도록 의무화하는 안전관리 제도이다.
안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KC인증 제품을 구매해야 한다.

둘째, 난방기기를 사용하기 전에 고장 여부나 피복 손상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난방기기는 장기간 보관 후 사용하기 때문에 보관 중 피복 손상이나 열선 단선으로 인한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고장을 확인하지 않고 사용하면 화재로 이어질 수 있기때문에 사용 전 제품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셋째, 난방기기를 사용한 뒤에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해야 한다.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제품을 방치하면 열이 축적되어 과부하로 인한 화재 위험성이 커진다.
사용하지 않는 기기의 전기 코드는 꼭 뽑아둬야 한다.

넷째, 사용이 끝난 제품을 보관할 때는 올바른 방법으로 보관ㆍ관리해야 한다.

그밖에 안전 수칙들이 많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자 본인이 항상 안전에 주의하며 난방기기를 사용ㆍ보관ㆍ관리하는 것이다. 추운 겨울, 안전수칙을 실천하여 화재 없는 따뜻한 겨울을 보내길 바란다.

기자이름 시사종합신문
이메일 sisatotal@hanmail.net
시사종합신문의 다른 기사 보기
캠핑의 계절, 캠핑장 화재 예방법
봄철 야외 활동, 진드기 물림 주의하세요!
의료기관 화재 예방(생명보호를 위한 필수 과제)
클린하우스 배출 안 되는 품목? 지구를 위해서 기억해요!
환경개선부담금이란
안전한 도시를 향한 힘찬 출발, ‘서귀포시 방범순찰대’ 출범
산불,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가?
산불예방과 대응
모두가 함께하는 산불 예방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실현
공사장 임시소방시설 설치 의무화
    

회사소개회원약관청소년보호정책개인정보보호정책제휴문의광고문의기사제보공지사항고충처리인제도인터넷신문 윤리강령
제호 : 시사종합신문 | 등록번호 : 광주, 아00535 | 발행일 : 2011.03.16 | 발행/편집인 : (주)시사종합신문 | 대표이사 : 오승택
광주본부 ㉾ 61924 광주광역시 서구 양동 264-12, 1층 | 전화 : (062)524-1600 | 기사제보 : sisatotal@hanmail.net | 청소년보호책임자 : 오승택
전남본부 ㉾ 57942 전라남도 순천시 성동2길 24(동외동) | 전화 : (061)746-2222 | 전북본부 ㉾ 54801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번영로 263(성덕동) | 전화 (063)214-4300
제주본부 ㉾ 63008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조로 124(고산리) | 전화 : 010-2080-6002
[주식회사 시사종합신문]를 통해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기사 및 사진)는 무단사용, 복사, 배포시 저작권법에 저해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