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추가 2025.04.21(월) 21:58
시사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도 특집기획 오피니언 커뮤니티  
새의자 수상 독자기고 시사칼럼 건강칼럼 기자수첩 핫이슈
새의자
수상
독자기고
시사칼럼
건강칼럼
기자수첩
핫이슈
옥내소화전설비, 그 이해와 중요성

여수소방서 화학119구조대 소방장 정온유

2023년 10월 27일(금) 22:20
여수소방서 화학119구조대 소방장 정온유
[시사종합신문] 어느 정도 규모의 건축물을 보다 보면 감지기나 스프링클러설비 뿐만 아니라 옥내소화전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게 된다. 함으로 이루어져 있고 “옥내소화전”이라는 표지와 함께 왠만한 거리에서도 눈에 띄며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발신기 세트와 함께 내장되어 적색등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소방시설의 설치기준 등에 대한 규칙을 확인할 수 있는 화재안전성능기준(NFPC)·기술기준(NFTC)에서 볼 수 있듯이, 옥내소화전은 수(水)계설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소방시설이라고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옥내소화전함의 외관은 [그림1]처럼 되어있다. 옥내소화전함 바로 위에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발신기세트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즘 시판되고 있는 제품들은 대부분 이러한 형태로 되어있는데, 그 이유는 [그림2]의 호스와 연결되어 있는 앵글밸브 방수구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음향장치 설치기준의 수평거리가 동일하기 때문이다.

[그림1]은 가장 기본적인 옥내소화전함이고, 최근 완공되고 있는 대형건축물의 옥내소화전함에는 현장의 소방대원들이 소방활동을 위한 비상콘센트설비, 일반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는 소화기와 휴대용비상조명등 등 한 개의 함에 여러 소방시설들을 설치하는 경우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그림2]를 살펴보자. 앞서 말한 호스와 연결되어 있는 앵글밸브 방수구가 옥내소화전의 방수구이다. 필자가 화재안전조사팀에서 근무했을 당시 방수구에 호스 연결이 되어있는지를 매우 유심히 보았다. 정말 단순하고 아무것도 아닐거라는 생각을 하기 마련이지만, 적지 않는 곳에서 호스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화재 발생은 아주 위급한 상황일텐데, 옥내소화전함에 있는 호스를 전개하고 연결하기까지의 시간이 꽤 걸린다는 것을 알게 된다면 호스의 연결은 의무라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그림2]의 옥내소화전 방수구 아래에 있는 앵글밸브가 한 개 더 있는데, 이 방수구는 옥내소화전 송수구에 연결된 방수구 또는 연결송수관설비 겸용일 경우 연결송수관설비의 방수구로 주로 소방관들이 사용하는 소방시설이다. 차이점은 위의 방수구는 건축물에 설치된 가압송수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고, 아래의 방수구는 소방펌프차에서 송수구에 호스를 연결하여 해당 방수구로 직접 송수할 수 있는 것이다.

화전과는 다르게 호스가 아코디언형이나 호스걸이형이 아닌 릴형식으로 감아져 있으며, 호스 구경도 더 작다. 소방청은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대형화재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608)」을 이번 달 13일 발령, 24년 1월 1일부터 시행하게된다. 주요내용 중 하나가 바로 이 호스릴 옥내소화전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그 근거로 핵가족 및 나홀로 세대 등의 거주 특성을 반영하였고, 호스 꼬임 현상 등으로 1인 사용이 어려운 일반 옥내소화전 방식을 개선하여, 쉽게 혼자서도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필자는 기존 스프링클러설비에 대해 고정식이면서 자동식 설비라고 소개한 바 있다. 옥내소화전설비는 고정식이면서 수동식인 설비인데, 그만큼 이 설비는 사용자의 이해도에 따라 화재 상황을 좌우할 수 있다. 옥내소화전 사용법은 많은 사람들이 잘 알고 있으리라 생각되지만 그 내부 구조도에 대해서도 관심있게 보면 어떨까
기자이름 시사종합신문
이메일 sisatotal@hanmail.net
시사종합신문의 다른 기사 보기
『ᄒᆞᆫ디 꺾으멍, ᄀᆞ치 웃으멍! 고사…
가족이 웃을 수 있는 세상, 서귀포시 가족센터
식품위생 종사자라면, 건강진단 사전 알리미 신청하세요!
스마트한 세금납부, 지방세 자동이체를 활용하자
공무원은, 공무원도, 공무원이라서 정치적 중립의무가 있는가
안전한 마을은 도로 위에서 시작된다.
자동차 상속이전은 상속인의 법적 책임입니다.
폐전선류 별도 배출 사업에 거는 기대
고사리 채취 시 진드기매개감염병 SFTS 감염에 주의
성실한 납세, 지역을 지키는 첫걸음
자연도 이웃도 지키는 선택, 불법소각 근절
    

회사소개회원약관청소년보호정책개인정보보호정책제휴문의광고문의기사제보공지사항고충처리인제도인터넷신문 윤리강령
제호 : 시사종합신문|등록번호 : 광주, 아00535|발행일 : 2011.03.16|발행/편집인 : (주)시사종합신문|대표이사 : 오승택|청소년보호책임자 : 오승택
광주본부 ㉾ 61924 광주광역시 서구 양동 264-12, 1층|전화 (062)524-1600|전남본부 ㉾ 57942 전라남도 순천시 성동2길 24(동외동)|전화 (061)746-2222
전북본부 ㉾ 54801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번영로 263(성덕동)|전화 (063)214-4300|기사제보 : sisatotal@hanmail.net
제주본부 ㉾ 63008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조로 124(고산리)|전화 010-2080-6002
[주식회사 시사종합신문]를 통해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기사 및 사진)는 무단사용, 복사, 배포시 저작권법에 저해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