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추가 2025.04.20(일) 14:37
시사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도 특집기획 오피니언 커뮤니티  
새의자 수상 독자기고 시사칼럼 건강칼럼 기자수첩 핫이슈
새의자
수상
독자기고
시사칼럼
건강칼럼
기자수첩
핫이슈
추석 벌초·성묘 앞두고 벌 쏘임 사고 예방·응급처치 알기

완도소방서 대응구조과장 최종수

2023년 09월 26일(화) 14:57
완도소방서 대응구조과장 최종수
[시사종합신문] 폭염과 폭우 그리고 태풍으로 힘들었던 여름이 가고 어느덧 풍요와 결실이 가득한 민족대명절인 추석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추석을 앞두고 벌초·성묘 등 야외활동이 늘어나면서 벌 쏘임 사고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어 안전한 추석연휴를 보내기위한 벌 쏘임 사고 예방법과 응급처치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최근 3년간 벌 쏘임 사고 평균을 보면 78.8%가 7∼9월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작년 한 해에만 벌 쏘임으로 11명이 숨지고 6천439명이 부상을 입었고 3년간 연평균 사망자는 9.7명으로 집계되어 추석 명절 벌초·성묘 등을 앞두고 벌 쏘임사고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벌 쏘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벌을 자극할 수 있는 강한 냄새의 향수나 화장품 사용을 자제해야하며 단 성분을 좋아하므로 달콤한 음료 등에는 벌이 모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또한 벌은 검고 어두운색의 옷에 공격성을 보이므로 흰색 및 밝은색 계열의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으며 긴팔, 긴바지를 입어 팔과 다리의 노출을 최소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만약 벌집을 발견할 시에는 자세를 낮춰 천천히 다른 장소로 이동하고 벌집에 접촉하였다면 머리 부위를 감싸고 신속하게 20M 이상 자리를 피해야 하며
벌에 쏘였다면 쏘인 부위는 신용카드 등으로 피부를 가볍게 밀어 벌침을 제거하고 깨끗한 물로 씻은 후 얼음주머니 등으로 찜질하면 통증을 줄일 수 있으며, 호흡곤란과 경련, 두드러기 등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면 아나필락시스 쇼크로 사망까지 이르는 경우가 있어 신속하게 119로 신고해 응급조치를 받아야한다.

오랜만에 만나는 가족·친지와 함께 넉넉하고 풍성한 한가위를 보내고 건강한 모습으로 일상으로 돌아가길 기원해본다.
기자이름 시사종합신문
이메일 sisatotal@hanmail.net
시사종합신문의 다른 기사 보기
공무원은, 공무원도, 공무원이라서 정치적 중립의무가 있는가
안전한 마을은 도로 위에서 시작된다.
자동차 상속이전은 상속인의 법적 책임입니다.
폐전선류 별도 배출 사업에 거는 기대
고사리 채취 시 진드기매개감염병 SFTS 감염에 주의
성실한 납세, 지역을 지키는 첫걸음
자연도 이웃도 지키는 선택, 불법소각 근절
찾아가는 환경기술인 맞춤형 컨설팅으로 깨끗한 환경 조성
농업인 농경지 보호 소규모 배수개선사업
우리 지역 물가안정지킴이, 착한가격업소
마을을 디자인하는 주민참여예산
    

회사소개회원약관청소년보호정책개인정보보호정책제휴문의광고문의기사제보공지사항고충처리인제도인터넷신문 윤리강령
제호 : 시사종합신문|등록번호 : 광주, 아00535|발행일 : 2011.03.16|발행/편집인 : (주)시사종합신문|대표이사 : 오승택|청소년보호책임자 : 오승택
광주본부 ㉾ 61924 광주광역시 서구 양동 264-12, 1층|전화 (062)524-1600|전남본부 ㉾ 57942 전라남도 순천시 성동2길 24(동외동)|전화 (061)746-2222
전북본부 ㉾ 54801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번영로 263(성덕동)|전화 (063)214-4300|기사제보 : sisatotal@hanmail.net
제주본부 ㉾ 63008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조로 124(고산리)|전화 010-2080-6002
[주식회사 시사종합신문]를 통해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기사 및 사진)는 무단사용, 복사, 배포시 저작권법에 저해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