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때문에 소방청은 예보프로그램 위험지수가 증가됨에 따라 매년 7월부터 주의보를, 9월부터는 경보로 상향 발령해서 더욱 경각심을 갖도록 하고 있다.
아래는 국립공원관리공단의 말벌 공경성향 실험 결과이다.
∙ 색상에 따른 공격성 : 검은색 > 갈색 > 빨간색 > 초록색 > 노란색 순서
∙ 공격부위 : 머리부위 집중공격
이처럼 말벌은 밝은 색 보다는 어두운 색상에 공격성을 나타내고, 사람의 검은색머리 쪽을 집중 공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벌에 쏘였을 경우에는 신용카드 같은 물건을 이용하여 밀어내는 등 적절한 방법으로 신속히 벌침을 제거하고, 쏘인 부위의 감영방지를 위해 소독하거나 깨끗한 물로 씻은 후 얼음주머니 등으로 찜질함으로써 통증을 감소시켜야 한다.
또한 울렁거림, 구토 설사, 어지러움, 두드러기, 호흡곤란 등 말벌 독의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신고하여 인근 병원으로 이송, 응급처치를 받아야 한다.
즐거운 추석 명절이 다가오고 있다. 벌초나 성묘 등 야외활동 전‘벌 쏘임 안전 수칙’을 잘 기억하고 실천하여 안전사고 없는 풍성한 한가위가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