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놀이 사고는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고, 소중한 생명을 앗아가기 때문에 예방법을 숙지하고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첫째, 여름철 물놀이 휴가 전 그리고 휴가 중 날씨정보 확인이다. 대체로 우리나라는 7월부터 9월까지 장마 또는 태풍의 영향이 집중되는 기간이다. 강과 계곡에서 만난 장마와 태풍은 갑자기 물을 불어나게 만들며 또는 산사태를 발생시킨다. 사전에 날씨정보를 확인 후 물놀이를 계획해야 하며, 장마 또는 태풍이 예상될때는 계획을 변경하여 위험한 곳에 접근하지 말아야 한다.
셋째, 물놀이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처하는 요령을 숙지한다. 구명환이나 구명줄이 있다면 던져주고, 구명기구가 없다면 주변에 긴 막대를 이용하거나, 페트병이나 아이스박스를 던져 부력을 이용하여 떠있게 해주면 긴급상황에서 훌륭한 구조기구가 될 수 있다.
추가로, 물에 빠진 사람을 구조한 후에 의식 및 호흡이 없다면 119에 신고하고 구급대가 올 때까지 심폐소생술을 시행한다. 최근에는 영상통화로 119상황실 근무자가 방법을 잘 알려주기 때문에 어렵게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 훈련이 된 경우에는 인공호흡도 병행하여 골든타임을 확보한다.
이 모든 것은 알고만 있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철저하게 지켜야 사고를 예방할수 있기 때문에, 우리 스스로가 언제나 안전사고 당사자가 될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지고 여름철 물놀이를 떠나기 전 충분한 대비와 물놀이 안전수칙을 지켜 즐거운 추억으로 남을 수 있도록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