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립미술관 문화예술 공공수장고는 미술품보존처리실을 갖춘 후 지난해 야외 조각품을 보존 처리한 데에 이어, 올해는 작고 작가의 훼손 작품에 대한 보존 처리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도립미술관은 공립기관에서 이관․관리되는 작품 중 훼손 정도가 심하고, 지역 미술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작고 작가의 작품을 우선적으로 보존 처리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번 보존처리 첫 대상인 서양화가인 김인지 선생은 1934년 동경사범학교 도화강습과를 수료하고 조선미술전람회 양화부문 입선을 시작으로 다수의 공모전 수상과 1955년 제주도미술협회 결성을 주도적으로 이룬 기여도가 있으며, 제주 최초의 서양화가라는 타이틀을 갖는 작가이다.
이번 보존처리는 작품별 상태 조사, 기술자문, 훼손부위 접합, 클리닝, 그림층 접착과 메움 그리고 색맞춤의 수복 과정으로 진행된다.
자체 미술품 보존 처리는 지역 문화유산을 지키기 위한 예방이자, 문화선진도시 위상에 걸 맞는 공립미술관 소장품에 대한 지속적인 보존 관리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도립미술관은 이를 통해 지역 미술사 자료의 체계적 관리와 지역 미술 정체성 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자체 보존된 작품들은 향후 기획 전시 등에도 활용된다.
최정주 제주도립미술관장은 “그동안 손상된 미술품 보존처리를 위해 육지로 보내야하는 운송 절차와 관리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자체 복원된 작품은 올해 하반기 기획전 등을 통해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