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위는 암꽃과 수꽃의 개화 시기가 달라 인공수분이 꼭 필요한 과수로, 농가들은 지난해 채취한 꽃가루를 냉동 보관한 뒤 인공수분 작업에 사용한다. 이때 꽃가루 발아율이 높아야 수정이 잘 이루어져 결실이 양호하고 과일의 품질과 당도가 높아져 상품성이 향상된다.
이에 농업기술센터의 꽃가루은행은 개약기, 화분정선기 등 13종의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키위 인공수분이 이뤄지는 시기에 맞춰 농가와 꽃가루은행에 각각 보관 중인 꽃가루의 발아율을 무료로 검사하는 서비스를 본격 제공하고 있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명품 키위의 첫걸음은 수분에서 시작된다”며, “활력도 높은 양질의 꽃가루를 사용해 품질 좋은 키위를 생산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홍보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