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2035 노후계획도시 정비기본계획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20년 넘은 택지개발지 정비방안 찾는다
아중지구와 서신1·서곡지구, 서신2지구, 삼천·효자지구 대상으로 용역 착수
공간구조 개선계획과 정비사업의 단계별 추진계획, 공공기여에 관한 사항 등 수립

2025년 03월 25일(화) 14:32
[시사종합신문 = 오승택 기자] 전주시가 조성된 지 20년이 넘은 노후 택지개발사업지 등을 대상으로 실효성있는 정비방안을 찾기 위한 용역을 시작했다.

전주시는 ‘노후계획도시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에 따라 노후계획도시의 광역적·체계적 정비에 필요한 사항을 지원하기 위한 ‘2035 전주시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했다고 25일 밝혔다.

노후계획도시는 택지개발사업 등에 따라 조성되고 20년 이상 경과한 면적이 100만㎡ 이상인 지역이다. 시는 △아중지구 △서신1·서곡지구 △서신2지구 △삼천·효자지구(삼천2·효자2지구) 등 노후계획도시 4곳을 대상으로 관련 용역을 추진한다.

전주시는 관련 용역을 통해 △노후계획도시의 공간적 범위 △기본계획의 목표 및 방향 △특별정비예정구역 범위 △건축물의 밀도계획 △공간구조 개선계획 △정비사업의 단계별 추진계획 △공공기여에 관한 사항 등 전주시의 특성을 고려한 실효성있는 정비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은 시가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기본계획에 따른 특별정비계획 수립 및 특별정비구역 지정 후, 재개발·재건축·리모델링·도시개발 등 개별법에 따라 각종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안전진단 면제 또는 완화 △통합심의를 통한 인·허가 절차 단축 △용적률 상향 △건축물의 건축제한 완화 등의 특례를 받을 수 있다.

시는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안이 수립되면 지역 주민과 전주시의회의 의견을 수렴한 뒤 전주시 노후계획도시정비위원회 심의와 전북특별자치도 승인을 거쳐 2026년 하반기(9월) 기본계획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시는 전주시의회 418회 임시회에서 △정비기본계획의 내용 △전주시 노후계획도시정비위원회 구성 및 운영 △리모델링사업 증가 세대수의 범위 △증가 용적률에 대한 공공기여 비율 등을 담은 ‘전주시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안건을 상정, 원안가결 되어 곧 공포를 앞두고 있다.

김문기 전주시 광역도시기반조성실장은 “전주시 특성에 맞는 실효성 있는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노후계획도시의 정주여건을 개선하고, 미래도시로의 전환을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오승택 기자 sisatotal@hanmail.net
이 기사는 시사종합신문 홈페이지(http://www.sisatotalnews.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news@sisatotal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