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29억원을 투입해 미생물과 천연물 중심의 바이오 산업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전주기 지원 체계를 구축해 지역 자원을 활용한 경제 활성화와 기업 지원에 나선다.
시는 먼저 ‘효능평가 지원사업’을 통해 효능 검증 및 안전성 평가 체계를 구축했다. 지난해 10월 준공된 ‘GMP 기반 미생물 산업화 지원시설’과 연계해 기업들이 상품화 과정에서 필수적인 소재 검증과 대량 공급 기반을 확보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올해 양돈 농가를 시작으로 2026년에는 한우 농가까지 대규모 제품 실증사업을 시행해 상품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는 미생물 산업에 이어 천연물 분야로의 확장을 목표로 ‘천연물 소재 전주기 표준화 허브 구축’ 공모에도 도전한다. 이를 통해 중간소재 산업을 고도화해 정읍을 그린바이오의 핵심 거점으로 발전시키고 농가 소득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이끄는 모델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이학수 시장은 “그린바이오 산업은 정읍이 가진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유망한 분야”라며 “허브 육성을 차질 없이 추진해 시민의 소득 창출과 기업 활동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이끌어내겠다”고 강조했다.